경원여객 (경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원여객 (경기)는 1979년 소신여객의 반월, 안양 영업소를 분리하여 설립된 운수업체이다. 경기도 안산시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경기순환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2021년 태화상운을 인수하는 등 사업을 확장했다. 현재는 안산, 시흥, 부천 등에 사업장을 두고 있으며, 현대자동차의 다양한 버스 모델과 MAN 라이온스 더블데커 등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원여객 계열사 - 시흥교통
시흥교통은 2003년 경원여객의 출자로 설립되어 시흥시의 시내버스와 직행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주요 버스 운송 기업으로, 경원여객과 차량을 공유하며 2010년대 이후 노선 확충을 통해 2022년 1월 기준 40개 노선과 302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 경원여객 계열사 - 태화상운 (안산시)
태화상운은 1969년 태화여객으로 설립되어 1972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된 안산시의 버스 운송 기업으로, 시내일반 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2021년 경원여객에 피인수되었다. - 1979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서흥여객
서흥여객은 1979년 설립되어 경상남도 거창군과 합천군을 중심으로 시내/농어촌버스를 운행하며, 거창읍과 합천읍을 기점으로 군내 주요 지역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차종의 버스를 보유한 회사이다. - 1979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청주교통
청주교통은 1979년 충북교통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청주시 시내버스 회사로, CNG 버스 도입, 마을순환버스 노선 인수 등을 거쳐 코리아와이드 계열에 속하며, 북부공영차고지 운영권 확보 후 다양한 차종의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 단원구 - 서울예술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는 유치진이 1962년 설립한 한국연극아카데미에서 시작된 대한민국의 예술대학으로, 다양한 예술 분야의 학부 및 전공을 운영하며 한국 전통 예술의 현대화와 세계화에 기여하고 수많은 예술인을 배출했다. - 단원구 - 안산문화복합돔구장
안산문화복합돔구장은 경기도 안산시에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2013년 최종적으로 백지화된 4만 명 수용 규모의 개폐식 돔구장 건설 사업이다.
경원여객 (경기)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경원여객자동차(주)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1979년 9월 28일 |
장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원로 138 (성곡동) |
국가 | 대한민국 |
인물 | 민충기, 이순옥 (대표이사) |
산업 | 시내버스 운송업 |
사업 지역 | 심곡영업소 : 경기도 부천시 경인로 246-1 (심곡본동) 정왕영업소 : 경기도 시흥시 서해안로 81-30 (정왕동) 선부영업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이로 48 (선부동) 본오영업소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오목로 156 (본오동) 호계영업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109 (호계동) |
자본금 | 1,500,000,000원 (2020.12) |
매출액 | 66,547,828,535원 (2020) |
영업이익 | -8,682,432,652원 (2020) |
순이익 | -4,321,626,898원 (2020) |
자산총액 | 47,321,172,495원 (2020.12) |
종업원 | 848명 (2020.12) |
웹사이트 | 경원여객 홈페이지 |
주주 정보 | |
주주 | 이순옥: 55.38% |
주주 | 민충기: 24.43% |
계열사 정보 | |
계열사 | 시흥교통 |
계열사 | 태화상운 |
계열사 | 써클라인 |
2. 역사
경원여객은 1979년 9월 28일 소신여객의 반월 및 안양영업소를 분리하여 설립되었다. 초기 본사는 안양시 호계동에 위치했다.[1] 1986년 반월지구출장소가 안산시로 승격되면서 교통 수요가 증가했고, 1988년에는 안산시 면허를 취득했다. 1990년 10월 본사를 안산시 초지동으로 이전했으며,[1] 1992년에는 선부동영업소, 1993년에는 시흥시 대야동에 지점을 설치했다. 1994년 5월 9일에는 소속 차량의 사고로 7명이 사망하고 30여 명이 부상당하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했다. 1998년 9월에는 대한민국 시내버스 업계 최초로 천연가스 버스를 시범 운행했다.[2]
2002년 본오동영업소를 개설하고, 2007년 3월에는 시흥교통 본사를 이전하면서 오이도영업소를 확장 재개설했다. 2011년 2월 용남고속의 간선급행버스 8407번을 대체 운행하기 시작했고, 8월에는 본사에 천연가스 충전소를 설치했다.[1] 2014년 3월 31일 이경덕 대표이사가 취임하여 2인 대표이사 체제가 되었고, 2015년 11월 25일에는 여객운송 사업부문을 스마트케엠티주식회사에 넘겼다.[3] 2016년 3월 23일 소신여객으로부터 7-4번과 220번 노선을 인수받았고,[4] 9월 1일에는 광역버스 3102번을 시내버스 5601번으로 변경했다.
2017년 6월 23일 제부여객과 310번을 공동 운행하기 시작했고, 6월 24일 300번을 개통해 주말과 공휴일에 2층버스를 운행했다.[5][6] 2018년 9번, 20번, 10-1번 노선을 개통했다.[7] 2020년 6월 15일 8407번 운행을 중단했다가 2023년 6월 19일 재개했다. 2021년 1월 15일 태화상운을 인수하고, 2월 호계영업소에 전기버스 충전소를 설치했으며, 12월 15일 6501번을 개통했다. 2022년에는 51번과 6502번을 개통했다.
2. 1. 설립 초기 (1979년 ~ 1990년대)
1979년 9월 28일 소신여객 반월영업소와 안양영업소를 분리 독립시켜 '''경원여객자동차(주)'''를 설립하였다. 본사는 경기도 안양시 호계동 900-12번지에 위치하였다.[1]1986년 반월지구출장소가 안산시로 승격하면서 교통 수요가 증가하였다.
1988년 11월 기존의 안양시 면허가 아닌 안산시 면허를 취득하였다.
1990년 10월 본사를 경기도 안산시 초지동 627-1번지로 이전하였다.[1]
1992년 선부동영업소를 개설하였다.
1993년 7월 1일 시흥시 대야동에 지점을 설치하였다.
1994년 5월 9일 소속 차량 운행 중 인사 사고가 발생하여 7명이 사망하고 30여 명이 부상당했다.
1998년 9월 대한민국 시내버스 업계 최초로 천연가스 버스를 시범 운행하였다.[2]
2. 2. 성장 및 확장 (2000년대 ~ 현재)
2002년 본오동영업소를 개설하였다.[2] 2007년 3월 계열사 시흥교통 본사 이전과 동시에 같은 자리에 기존 오이도영업소를 확장 공사 후 재개설하였다. 2011년 2월 용남고속 소속 간선급행버스 8407번을 대체 운행 개시하였고, 같은 해 8월 본사 차고지에 천연가스 자가 충전소를 설치하였다.[1]2014년 3월 31일 이경덕 대표이사가 취임하여 민충기-이경덕 2인 대표이사 체제가 되었다. 2015년 11월 25일 여객운송 사업부문을 신설법인 스마트케엠티주식회사에 넘겼다.[3] 2016년 3월 23일 소신여객에서 7-4번과 220번 노선을 인수받았고,[4] 같은 해 9월 1일 광역버스 3102번(안산 ~ 강남역)을 개통함과 동시에 시내버스 5601번으로 노선을 변경하였다.
2017년 6월 23일 310번(상록수역 ~ 화성 대광A)을 개통하여 제부여객과 공동 운행하고 있으며,[5] 다음 날인 6월 24일에는 300번(중앙역 ~ 대부도)을 개통하여 주말과 공휴일에 2층버스로 운행하고 있다.[6] 2018년에는 9번(선부동 ~ 중앙역, 1월 8일),[7] 20번(시흥시청 ~ 반월공단, 1월 16일), 10-1번(상록수역 ~ 푸르지오, 2월 7일) 노선을 차례로 개통하였다.
2020년 6월 15일 8407번 운행을 중단하였다가 2023년 6월 19일 운행을 재개하였다. 2021년 1월 15일 태화상운을 인수하였고, 2월 호계영업소에 전기버스 자가 충전소를 설치하였다. 같은 해 12월 15일 6501번을 개통하였고, 2022년에는 51번(안산초등학교 ~ 부곡동산림욕장, 1월 25일)과 6502번(5월 16일)을 개통하였다.
3. 운행 노선
경원여객은 안산시와 시흥시를 중심으로 도시형버스, 일반좌석버스,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경기순환버스, 똑버스(DRT)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3. 1. 도시형버스
경원여객은 안산시, 시흥시, 부천시 등 다양한 지역을 연결하는 도시형 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노선번호 | 주요 구간 |
---|---|
2 | 안산역 ↔ 초지역 ↔ 반월공단 (구 1번 마을버스) |
3 | 수암동 ↔ 월피동 ↔ 안산터미널 ↔ 중앙역 ↔ 고잔신도시 ↔ 사동푸르지오아파트 |
4-1 | 본오아파트 ↔ 상록구청 ↔ 한대앞역 (구 4번 마을버스) |
5 | 반월공단 ↔ 신길지구 ↔ 원곡동 ↔ 선부동 ↔ 선부역 |
6 | 화정동 ↔ 와동 ↔ 고잔역 (구 6번 마을버스) |
7 | 양상동 ↔ 월피동 ↔ 중앙역 ↔ 상록구청 (구 70번) |
8 | 안골마을 ↔ 사사동 ↔ 반월역 ↔ 삼천리마을 |
8-1 | 사사동 ↔ 반월역 ↔ 삼천리마을 (구 8번 마을버스) |
9 | 선부동 ↔ 와동 ↔ 안산시청 ↔ 중앙역 |
9-1 | 선부동 ↔ 땟골 ↔ 화랑유원지 ↔ 안산시청 ↔ 중앙역 |
10 | 중앙역 ↔ 안산문화광장 ↔ 사동푸르지오아파트 ↔ 송산그린시티 |
10-1 | 상록수역 ↔ 한양대학교 ↔ 사동푸르지오아파트 |
13 | 원시역 ↔ 송산그린시티 |
16 | 상록수역 ↔ 본오동태영아파트 ↔ 사리역 ↔ 그랑시티자이아파트 ↔ 송산그린시티 |
20 | 반월공단 ↔ 안산역 ↔ 신길지구 ↔ 도일시장 ↔ 능곡지구 ↔ 시흥시청 (구 1번) |
22 | 시화공단 ↔ 시화지구 ↔ 이마트 시화점 ↔ 안산역 ↔ 원곡동 ↔ 안산시청 ↔ 안산터미널 ↔ 사동 ↔ 상록수역 ↔ 본오동 ↔ 반월역 |
30 | 오이도 ↔ 시화공단 ↔ 시화유통상가 ↔ 경기과학기술대학교 ↔ 시흥소방서 ↔ 정왕역 ↔ 경기스마트고등학교 ↔ 시흥푸르지오6차아파트 ↔ 거모동 ↔ 군자동 ↔ 도일시장 ↔ 안산역 ↔ 원곡동 ↔ 안산시청 ↔ 예술인아파트 ↔ 월피동 |
30-2 | 오이도해양단지 ↔ 시화공단 ↔ 시화지구 ↔ 오이도역 ↔ 정왕고등학교 ↔ 안산역 ↔ 원곡동 ↔ 안산시청 ↔ 성포동 ↔ 부곡동 ↔ 수암동 ↔ 목감지구 |
31-7 | 호계동 ↔ 금정역 ↔ 명학역 ↔ 안양1번가 ↔ 박달동 ↔ 목감동 ↔ 매화동 ↔ 은행동 ↔ 신천역 ↔️ 삼미시장 ↔ 대야동 ↔ 여우고개 ↔ 부천역[18] |
34 | 월곶 ↔ 거모동 ↔ 군자동 ↔ 도일시장 ↔ 신길지구 ↔ 안산역 ↔ 땟골 ↔ 선부동 ↔ 와동 |
38 | 매화동 ↔ 은행동 ↔ 신천역 ↔️ 삼미시장 ↔ 대야동 ↔ 여우고개 ↔ 부천역[18] |
50 | 그랑시티자이아파트 ↔ 사동푸르지오아파트 ↔ 안산문화광장 ↔ 중앙역 ↔ 안산터미널 ↔ 월피동 ↔ 부곡동 ↔ 수암동 ↔ 목감동 ↔ 광명역 (구 300번, 구 5601번) |
51 | 안산초등학교 ↔ 부곡동산림욕장 |
52 | 반월공단 ↔ 안산역 ↔ 원곡동 ↔ 안산시청 ↔ 성포동 ↔ 안산터미널 ↔ 한대앞역 ↔ 일동 ↔ 상록수역 ↔ 본오동 |
55 | 오이도 ↔ 시화공단 ↔ 시화지구 ↔ 이마트 시화점 ↔ 안산역 ↔ 원곡동 ↔ 초지역 ↔ 신안산대학교 ↔ 고잔신도시 ↔ 사동 ↔ 상록수역 ↔ 본오동 |
61 | 부천터미널 ↔ 부천시청역 ↔ 신중동역 ↔ 부천대학교 ↔ 부천역 ↔ 여우고개 ↔ 대야동 ↔ 삼미시장 ↔️ 신천역 ↔ 미산동입구 ↔ 신현역 ↔ 연성지구 ↔ 시흥시청역 ↔ 장곡동 ↔ 군자동 ↔ 도일시장 ↔ 신길지구 ↔ 안산역 ↔ 반월공단 |
62 | 배곧한라비발디아파트 ↔️ 배곧생명공원 ↔️ 오이도역 ↔ 시화지구 ↔ 시흥소방서 ↔ 경기스마트고등학교 ↔ 안산역 ↔ 원곡동 ↔ 선부동 ↔ 와동 ↔ 고잔초등학교 ↔ 안산시청 ↔ 안산터미널 ↔ 중앙역 ↔ 사동 ↔ 본오동 |
66 | 반월공단 ↔ 안산역 ↔ 원곡동 ↔ 안산시청 ↔ 안산터미널 ↔ 한대앞역 ↔ 일동 ↔ 상록수역 ↔ 본오동 ↔ 반월역 |
71 | 반월공단 ↔ 신안산대학교 ↔ 고잔신도시 ↔ 중앙역 ↔ 사동 ↔ 상록수역 ↔ 일동 ↔ 안산중앙병원 |
71-1 | 반월공단 ↔ 신안산대학교 ↔ 고잔신도시 ↔ 중앙역 ↔ 사동 ↔ 상록수역 ↔ 일동 ↔ 안산중앙병원 |
72 | 상록수역 ↔ 일동 ↔ 안산중앙병원 |
76 | 거모동 ↔ 군자동 ↔ 도일시장 ↔ 신길지구 ↔ 안산역 ↔ 원곡동 ↔ 신안산대학교 ↔ 고잔신도시 ↔ 중앙역 ↔ 한대앞역 ↔ 일동 ↔ 상록수역 ↔ 본오동 |
77 | 선부동 ↔ 초지역 ↔ 신안산대학교 ↔ 고잔신도시 ↔ 중앙역 ↔ 서울예술대학교 ↔ 월피동 ↔ 부곡동 |
80C | 본오아파트 ↔ 그랑시티자이아파트 ↔ 사동푸르지오아파트 ↔ 안산문화광장 ↔ 중앙역 ↔ 한대앞역 ↔ 상록수역 |
90 | 삼천리마을 ↔ 반월역 ↔ 반월도금단지 ↔ 사리역 ↔ 상록수역 |
98 | 오이도 ↔ 시화공단 ↔ 반월공단 ↔ 안산역 ↔ 원곡동 ↔ 선부동 ↔ 와동 ↔ 고잔역 ↔ 고잔신도시 ↔ 사동푸르지오아파트 ↔ 그랑시티자이아파트 |
99 | 오이도 ↔ 배곧한라비발디아파트 ↔️ 시화지구 ↔ 이마트 시화점 ↔ 안산역 ↔ 원곡동 ↔ 안산시청 ↔ 안산터미널 ↔ 사동 ↔ 상록수역 ↔ 본오동 ↔ 팔곡동 ↔ 반월역 |
99-1 | 송산그린시티 ↔ 그랑시티자이아파트 ↔ 사동푸르지오아파트 ↔ 고잔신도시 ↔ 고잔역 ↔ 안산시청 ↔ 안산터미널 ↔ 중앙역 ↔ 선경아파트 ↔ 월피동 ↔ 부곡동 ↔ 일동 ↔ 상록수역 ↔ 본오동 |
101 | 반월공단 ↔ 원시역 ↔ 안산역 ↔ 원곡동 ↔ 초지역 ↔ 선부동 ↔ 와동 ↔ 안산시청 ↔ 중앙역 ↔ 한대앞역 ↔ 상록수역 ↔ 본오동 |
122 | 반월공단 ↔ 원시역 ↔ 안산역 ↔ 경기스마트고등학교 ↔ 오이도역 ↔ 서해고등학교 ↔ 스틸랜드 ↔ 시화방조제 ↔ 방아머리 ↔ 대부도 |
310 | 안산대학교 ↔ 상록수역 ↔ 본오동 ↔ 반월도금단지 ↔ 야목리 ↔ 비봉 ↔ 남양 ↔️ 화성시청 ↔️ 대광아파트 |
350 | 오이도해양단지 ↔ 시화공단 ↔ 시화유통상가 ↔ 안산역 ↔ 원곡동 ↔ 안산시청 ↔ 성포동 ↔ 월피동 ↔ 부곡동 ↔ 수암동 ↔ 목감동 ↔ 박달동 ↔ 안양1번가 ↔ 호계동 |
500 | 고잔역 ↔ 고잔신도시 ↔ 반월공단 |
501 | 반월공단 - 초지역 - 원곡동 - 동명아파트 - 한양프라자 - 석수골 - 선부고등학교 - 원곡고등학교 - 안산역 - 반월공단 (시계반대방향 501A, 시계방향 501B) |
511 | 반월공단 ↔ 안산역 ↔ 원곡동 ↔ 선부동 ↔ 달미역 |
3. 2. 일반좌석버스
●영어 301번: 본오아파트 ↔ 사동 ↔ 상록수역 ↔ 안산대학교 ↔ 일동 ↔ 부곡동 ↔ 수암동 ↔ 목감동 ↔ 광명사거리역 ↔ 개봉역 ↔ 구일역 ↔ 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여의도환승센터[14]●영어 320번: 반월공단 ↔ 안산역 ↔ 원곡동 ↔ 선부동 ↔ 와동 ↔ 월피동 ↔ 부곡동 ↔ 수암동 ↔ 목감동 ↔ 광명사거리역 ↔ 개봉역 ↔ 구일역 ↔ 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여의도환승센터[14]
3. 3. 직행좌석버스
경원여객은 경기도 안산시와 시흥시를 중심으로 수도권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노선번호 | 기점 | 종점 | 주요 경유지 | 신설일 | 비고 |
---|---|---|---|---|---|
110번 | 선부동 | 수원역 | 와동, 안산시청, 안산터미널, 상록수역, 서수원터미널 | 2007년 5월 10일 | [13][14] 용남고속 운행 노선 |
300번 | 중앙역 | 대부도 | 자유센터, 안산역, 이마트 시화점, 시화지구, 시화방조제, 방아머리 | 2017년 6월 24일 | 2015년 1월 31일 ~ 2월 8일 시범 운행, 주말 및 공휴일 운행 |
707-1번 | 신안산대학교 | 수원역 | 고잔신도시,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상록수역, 서수원터미널 | 2019년 6월 12일 | |
3100번 | 신안산대학교 | 양재시민의숲역 | 고잔신도시, 상록수역, 반월동, 대야미역,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우면산로, 서초역, 교대역, 강남역, 양재역 | 2007년 10월 15일 | [15] |
3101번 | 신안산대학교 | 양재시민의숲역 | 고잔신도시, 상록수역, 반월동, 대야미역, 군포역, 산본역,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우면산로, 서초역, 교대역, 강남역, 양재역 | 2010년 5월 24일 | [16] |
3102번 | 송산그린시티 | 양재시민의숲역 | 그랑시티자이아파트,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상록수역, 수인산업도로,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우면산로, 서초역, 교대역, 강남역, 양재역 | 2016년 9월 1일 | |
3103번 | 본오동 | 나라기록관 | 그랑시티자이아파트, 중앙역, 안산터미널, 서해안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판교제2테크노밸리 | 2024년 1월 2일 | |
3401번 | 이마트 시화점 | 광명역 | 시화지구, 배곧신도시, 제3경인고속화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석수역 | 2024년 8월 1일 | |
3402번 | 이마트 시화점 | 나라기록관 | 시화지구, 배곧신도시, 제3경인고속화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판교제2테크노밸리 | 2024년 6월 1일 | |
5609번 | 그랑시티자이아파트 | 여의도환승센터 | 안산역, 서해안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석수역, 구로디지털단지역, 보라매역, 여의도역 | 2016년 7월 15일 | [17] 광역급행버스 M5609번 형간전환 |
6501번 | 시흥능곡역 | 사당역 | 시흥시청역, 목감지구 | ||
6502번 | 이마트 시화점 | 사당역 | 시화지구, 배곧신도시 | ||
7070번 | 반월공단 | 수원역 | 안산역, 원곡동, 안산시청, 안산터미널, 상록수역, 서수원터미널 |
3. 4. 광역급행버스
M6410번: 미추홀외국어고등학교 ↔ 한화에코메트로 9.10단지 ↔ 한화에코메트로 11.12단지 ↔ 청능로사거리, 인천논현역 ↔ 논현 10.11단지 단풍마을 ↔ 월곶 풍림아파트 상가 ↔ 정왕 나들목 ↔ 제3경인고속화도로 ↔ 도리 분기점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학의 분기점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 선바위역 → 우면산로 → 우면산터널 → 서초역 → 교대역 → 강남역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선바위역(이하 역순) (2011년 1월 31일 신설)[18]3. 5. 경기순환버스
- 8407번: 호계동 ↔ 범계역 ↔ 안양1번가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시흥요금소, 김포요금소> ↔ 백석역 ↔ 마두역 ↔ 주엽역 ↔ 대화역 (2011년 2월 21일 운행 개시, 2020년 6월 15일 운행 중단, 2023년 6월 19일 운행 재개)[18] (이전에 용남고속이 운행하던 노선이다.)
3. 6. 똑버스 (DRT)
똑버스는 경기도형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 Demand Responsive Transit)의 고유 브랜드이며, '똑똑하게 이동하는 버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신도시나 교통 취약지역에서 정해진 노선이나 운행계획표 없이 승객의 호출에 맞춰 탄력적으로 승객을 수송하는 맞춤형 대중교통 수단이다.[1]2023년 12월 11일부터 경원여객은 안산시 대부도에서 똑버스 10대를 운행하기 시작했다.[2]
4. 보유 차량
제조사 | 차종 |
---|---|
현대자동차 | 카운티 |
현대자동차 | 그린시티 |
현대자동차 |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
현대자동차 | 블루시티 |
현대자동차 | 일렉시티 |
현대자동차 | 유니시티 |
현대자동차 |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
MAN | 라이온스 더블데커 |
5. 사업장
참조
[1]
웹인용
경기도 우수기업 홍보관: 경원여객
https://web.archive.[...]
2014-05-28
[2]
뉴스
매일경제
https://news.naver.c[...]
[3]
웹사이트
스마트케엠티 기업개요
http://www.kreport.c[...]
한국기업데이터
2016-08-21
[4]
웹사이트
220번, 7-4번 노선 이관
http://www.sosinbus.[...]
소신여객 공지사항
2019-09-06
[5]
웹인용
310번 신설
https://web.archive.[...]
2017-06-26
[6]
웹인용
300번 신설
https://web.archive.[...]
2017-06-26
[7]
웹인용
9번 신설
https://web.archive.[...]
2018-01-07
[8]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2-03-22
[9]
웹인용
경원여객
https://web.archive.[...]
2015-08-05
[10]
웹인용
경원여객
https://web.archive.[...]
2015-08-05
[11]
웹인용
경원여객
https://web.archive.[...]
2015-08-05
[12]
웹인용
경원여객
https://web.archive.[...]
2015-08-05
[13]
웹인용
경원여객
https://web.archive.[...]
2015-08-05
[14]
문서
일반좌석버스 노선이지만 직행좌석버스의 붉은색 도색 상태이다.
[15]
웹인용
경원여객
https://web.archive.[...]
2015-08-05
[16]
웹인용
경원여객
https://web.archive.[...]
2015-08-05
[17]
웹인용
경원여객 :: M5609번 노선 운행형태 변경 및 노선연장 안내
https://web.archive.[...]
2016-07-14
[18]
문서
안산시 구간은 영업운행하지 않음.
[19]
웹인용
경원여객
https://web.archive.[...]
2015-08-05
[20]
웹인용
경원여객
https://web.archive.[...]
2015-08-05
[21]
문서
초창기에는 부천시에서 서울대공원 간을 운행하였다.
[22]
웹인용
경원여객
https://web.archive.[...]
2015-08-05
[23]
웹인용
경원여객
https://web.archive.[...]
2015-08-05
[24]
웹인용
경원여객
https://web.archive.[...]
2015-08-05
[25]
문서
본래 이 노선은 안산시티투어 노선으로 예약제로 운행하였으며, 30번과 501번의 일부 차량을 시티투어 테마로 도색하여 주말에만 운행하였으나, 시티투어 이용객 감소로 폐지되었으며, 해당버스는 경기도 시내버스 도색으로 재도색되었다.
[26]
웹인용
경원여객
https://web.archive.[...]
2015-08-05
[27]
문서
2004년 4월 1일 직행좌석버스로 형간 전환과 동시에 노선 번호를 5601번으로 변경
[28]
문서
태화상운 출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